웹브라우저 상단의 제목 왼쪽에 나오는 작은 아이콘인 파비콘을 설정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 합니다.
📌 파비콘 경로와 파일명 설정
(1) 기본 경로 (/favicon.ico
)
대부분의 브라우저는 기본적으로 /favicon.ico
를 자동으로 요청합니다.
해당 경로에 favicon.ico
파일을 두면 아래 추가적인 설정 없이도 적용됩니다. 브라우저는 사이트의 루트 디렉토리에 있는 favicon.ico
파일을 기본적으로 찾기 때문에, 특별한 설정 없이도 모든 페이지에서 동일한 파비콘이 표시됩니다.
<link rel="icon" href="/favicon.ico" type="image/x-icon">
(2) 사용자 지정 경로 및 파일명
기본 경로가 아닌 원하는 위치와 파일명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.
<link rel="icon" href="/images/favicon-120x120.png" type="image/png">
유의사항:
favicon.ico
외에도 원하는 파일명과 경로를 지정할 수 있지만, <link>
태그를 <head>
에 포함해야 정상적으로 인식됩니다.
브라우저가 기본적으로 /favicon.ico
를 찾으므로, 따로 경로를 설정하지 않으면 /favicon.ico
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.
(3) 여러 개의 파비콘 설정 (최적화)
다양한 브라우저 및 플랫폼을 고려해 여러 크기와 형식의 파비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 특히, favicon.ico
파일 하나에 여러 해상도를 포함시킬 수 있으므로, 추가적인 파비콘 파일들을 함께 제공하는 것이 권장됩니다.
<link rel="icon" href="/favicon.ico" type="image/x-icon">
<link rel="icon" href="/images/favicon-16x16.png" sizes="16x16" type="image/png">
<link rel="icon" href="/images/favicon-32x32.png" sizes="32x32" type="image/png">
<link rel="icon" href="/images/favicon-48x48.png" sizes="48x48" type="image/png">
<link rel="icon" href="/images/favicon-120x120.png" sizes="120x120" type="image/png">
<link rel="icon" href="/images/favicon.svg" type="image/svg+xml">
🔍 결론
✅ 파비콘 경로와 파일명은 자유롭게 설정 가능
✅ 다만 기본적으로 /favicon.ico
경로를 지원하는 것이 좋음
✅ ICO 파일 하나에 여러 해상도(16x16, 32x32, 48x48, 120x120)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, 추가적으로 여러 해상도의 PNG나 SVG 형식도 제공하는 것이 권장됨
✅ 원하는 위치와 파일명을 지정할 경우 <link rel="icon">
을 <head>
에 추가해야 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