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NS 레코드 체크기는 도메인의 A, CNAME, MX, TXT, NS 등 다양한 DNS 레코드를 찾아주는 텍스트 유틸리티입니다.
Type | Records |
---|
DNS 레코드란?
DNS(도메인 네임 시스템) 레코드는 도메인과 서버 정보를 연결하는 데이터입니다.
우리가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하면, DNS가 해당 도메인을 IP 주소로 변환하여
올바른 서버로 연결해 줍니다.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A 레코드입니다.
A 레코드는 도메인 이름을 IPv4 주소와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. 예를 들어,
example.com → 192.0.2.1
처럼 도메인 이름을 실제 서버의 IP 주소로 변환하여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.
DNS 레코드 종류와 역할
A 레코드 (Address Record)
- 도메인을 IPv4 주소와 연결합니다.
- 예: example.com → 192.0.2.1
- 웹사이트 접속을 위해 필수적인 레코드입니다.
AAAA 레코드 (IPv6 Address Record) - 도메인을 IPv6 주소와 연결합니다. - IPv6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 필요합니다.
CNAME 레코드 (Canonical Name Record)
- 한 도메인을 다른 도메인의 별칭(Alias)으로 설정합니다.
- 예: www.example.com → example.com
- 동일한 IP를 공유하는 여러 도메인 설정 시 유용합니다.
MX 레코드 (Mail Exchange Record)
- 이메일을 받을 서버를 지정하는 레코드입니다.
- 이메일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려면 설정해야 합니다.
- 예: mail.example.com (우선순위 10)
NS 레코드 (Name Server Record)
- 도메인의 네임서버를 지정합니다.
- 네임서버는 DNS 요청을 처리하는 서버입니다.
- 예: ns1.example.com, ns2.example.com
PTR 레코드 (Pointer Record) - IP 주소를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역방향 조회 레코드입니다. - 메일 서버의 신뢰성을 확인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.
SOA 레코드 (Start of Authority Record) - 도메인의 관리 정보(관리자 이메일, 업데이트 주기 등)를 포함합니다. - 도메인의 기본 설정을 담당하는 중요한 레코드입니다.
SRV 레코드 (Service Record)
- 특정 서비스(예: 음성 채팅, 메신저 등)의 호스트 및 포트 정보를 저장합니다.
- 예: _sip._tcp.example.com 10 60 5060 sipserver.example.com
TXT 레코드 (Text Record)
- 도메인에 대한 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레코드입니다.
- 이메일 인증(SPF, DKIM) 및 보안 설정에 사용됩니다.
- 예: "v=spf1 include:_spf.google.com ~all"